서구식 식습관으로 변함으로써 통풍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발병 연령층 또한 낮아지고 있는 현실입니다.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통풍의 원인을 알고 있으면 예방과 수월할 치료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어,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통풍의 원인
통풍의 원인 통풍(痛風)은 말 그대로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는 말이 나올 정도의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병입니다. 통풍이 생기는 직접적인 원인은 요산이 체내로 배출되지 않고 몸속에 쌓여 결정체가 되면서 신경을 찌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통증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몸속에 요산은 왜 쌓이는 것일까? 우리가 흔하게 섭취하는 고기, 생선, 콩 같은 단백질류안에는 퓨린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퓨린이 우리 몸속에서 분해되면서 요산이라는 분비물을 만들게 됩니다. 이때 만들어진 요산은 체외로 정상 배출이 되어야 하는데, 너무 과도하게 섭취된 경우 혈액 속으로 녹아들어 가게 됩니다. 특히 발가락, 손가락, 귓볼 등 얇은 혈관이 지나는 곳에서 원활하게 순환을 하지 못하여 쌓이게 되면서 뾰족한 결정체 모양으로 만들어지게 되는데, 통풍이 주로 손가락이나 발가락에 많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통풍의 증상
통풍의 증상 우리의 몸은 하루 7.0mg/dl 이하의 요산을 갖고 있으나, 7.0mg/dl를 초과하게 되면 요산이 쌓이면서 결정체를 만들게 됩니다. 통풍은 어느날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닌 서서히 우리 몸속에 요산 결정체가 쌓이면서 발생되기 때문에 증상을 바로 알아차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발가락이나 손가락에 통증이 살짝 나타났다가도 다시 금방 수그러들기 때문에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데, 이런 증상이 점차 반복이 되면서 통증이 점점 더 악화되는 것입니다. 통풍은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혈액이 순환하면서 요산이 쌓여있는 부분에 요산이 또 쌓이게 되면서 주기적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퓨린이 많은 단백질 음식을 섭취한 경우 다음날에도 통증이 발생되는데, 이는 체내에 요산이 추가로 축적되면서 통증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통풍의 증상은 환자들마다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그 고통을 알 수 없다고 할 정도로 매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며, 통증이 발병되는 시기에는 거의 거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통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환자들마다의 공통점은 통풍이 발병하기 전에 전조 증상이 있다는 것입니다. 통증이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것이 아닌, 약간의 통증을 느끼고, 수시간 내 극심한 통증이 찾아오는 전조증상이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통풍의 치료방법
통풍의 치료방법 현재까지 통풍은 현재 약물로 치료를 할 수가 있다. 통증이 극심한 경우 해당 부위에 스테로이드제 주사를 놓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약물로 통증을 발생을 억제시키기도 합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통증은 오랜시간 요산덩어리가 쌓여 생긴 결정체가 원인이라, 치료하는 데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풍의 예방방법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고기같은 단백질류 섭취가 늘어나면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퓨린을 많이 섭취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퓨린으로 인해 발생되는 요산 축적량이 늘어나고, 부족해진 현대인들의 운동량으로 통풍 환자들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통풍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육류의 섭취보다는 식이섬유질이 풍부한 채소류의 섭취를 늘리고, 또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체내에 요산이 축적되지 않도록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검진을 통하여 혈액 속의 요산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는지도 항상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체내에 요산수치가 정상범위 밖이라면 통풍 잠재적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때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통풍이 발생되기 전에 미래 예방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퓨린이 많은 음식과 적은 음식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요산 생성이 많기 때문에 너무 과하지 않게 적절하게 섭취해야합니다.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같은 붉은 고기류, 어패류, 내장류, 시금치, 등 푸른 생선, 밀가루, 오징어, 단음료, 술 등이 대표적으로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입니다. 특히 술 중에서도 맥주가 퓨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치킨과 맥주 같은 조합으로 섭취는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퓨린이 적은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감자, 브로콜리, 토마토, 두부, 무, 배추, 달걀, 체리, 저지방 우유, 사과, 바나나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퓨린은 특히 동물성 단백질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만큼 적절하게 섭취되도록 식단 조절을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요산 수치가 높게 나온 경우는 퓨린이 적게 들어간 음식을 주로 섭취함으로 혈액 속 함유된 요산을 줄여주는 것이 통풍을 예방할 수 있는 응급조치입니다.
통풍이 한번 발생되면 오랜 치료기간이 걸리는 만큼 통증이 없다고 하더라도 완벽히 치료되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요산 결정체가 줄어든 것 뿐이지 언제든 통풍이 재발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통풍이 발병된 환자의 경우는 평생 식단 조절과 운동에 신경을 써야 하는 질병입니다. 통풍은 극심한 통증으로 사회생활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마저도 어렵게 하기 때문에 통풍이 발병되지 않도록 건강한 사람도 유의 깊게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질병입니다.
'깨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0) | 2025.02.27 |
---|---|
임플란트 후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7가지 부작용 (0) | 2025.02.25 |
치아사이의 충치 치료방법 (0) | 2025.02.24 |
입안 구내염 빨리 낫는 방법 (0) | 2023.07.05 |
심부전증 전조증상과 치료 및 6가지 예방 방법 (0) | 2023.07.04 |
댓글